맨위로가기

높이뛰기 대한민국 기록 추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높이뛰기 대한민국 기록 추이는 일제강점기 이후 한국 높이뛰기 기록의 변천사를 다루는 문서이다. 해방 이후 박상수가 1947년 1m 83을 기록하며 처음으로 신기록을 세웠고, 조현욱이 1964년에 1m 87을 기록하며 1980년대까지 기록을 경신했다. 1990년대 이후 이진택은 2.30m를 넘어섰고, 우상혁은 2020 도쿄 올림픽에서 4위를, 2022년 세계실내육상선수권대회에서 우승하며 한국 육상 역사상 최고의 성적을 기록했다. 문서에는 남자 및 여자 높이뛰기 신기록 변천사, 주요 기술 및 훈련 방법, 국제 대회에서의 한국 선수 성적, 높이뛰기의 미래와 과제에 대한 내용이 포함되어 있다.

2. 높이뛰기의 역사

높이뛰기는 고대부터 존재해 온 육상 종목으로, 장애물을 뛰어넘는 단순한 형태에서 발전하여 오늘날과 같은 스포츠 경기가 되었다.

한국 높이뛰기는 일제강점기부터 시작되었으며,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후 발전을 위한 정책적 노력이 이루어졌다. 1990년대 이전에는 조현욱, 이진택 등이 한국 높이뛰기 발전에 기여했다.

2. 1. 한국 높이뛰기

한국 높이뛰기는 일제강점기부터 시작되어 현재까지 꾸준히 발전해왔다.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후, 높이뛰기 발전을 위한 정책적 노력이 이루어졌다.

1990년대 이전에는 조현욱과 이진택 등이 한국 높이뛰기 발전에 기여했다. 1990년대 이후의 자세한 기록은 하위 섹션인 '1990년대 ~ 현재'에서 확인할 수 있다.

2. 1. 1. 1990년대 ~ 현재

1990년대부터 현재까지 대한민국 높이뛰기는 여러 선수들의 활약으로 괄목할 만한 성장을 이루었다.

남자부에서는 1990년 조현욱이 2m 26을 기록한 이후, 이진택이 꾸준히 기록을 경신하며 한국 높이뛰기의 수준을 끌어올렸다. 이진택은 1992년 2m 28을 시작으로[2] 1997년에는 2m 34까지 기록을 향상시키며 한국 높이뛰기의 전성기를 이끌었다. 2021년에는 우상혁이 2020 도쿄 올림픽에서 2m 35를 기록하며 4위에 오르는 쾌거를 달성했고, 2022년에는 세계육상실내투어에서 2m 36을 넘어 한국 신기록을 다시 한번 경신했다.

여자부에서는 1990년 김희선이 1m 93을 기록하며 한국 여자 높이뛰기의 새로운 지평을 열었다.[16]
남자 높이뛰기 대한민국 기록 추이 (1990년대 ~ 현재)

기록선수소속날짜대회명장소
2m 26조현욱부산대1990.08.10제4회 한국육상그랑프리대회서울 올림픽 주경기장
2m 28[2]이진택부산대1992.05.02제46회 전국 육상 경기 선수권 대회서울 올림픽 주경기장
2m 29이진택국군체육부대1993.06.16제47회 전국육상경기선수권대회서울 올림픽 주경기장
2m 30이진택국군체육부대1993.10.15제74회 전국체육대회광주 무등경기장
2m 31이진택경북대1994.05.12제23회 전국종별육상경기선수권대회서울 올림픽 주경기장
2m 32이진택경북대1994.06.18제48회 전국육상경기선수권대회서울 올림픽 주경기장
2m 33이진택경북대1995.06.17제49회 전국육상경기선수권대회서울 올림픽 주경기장
2m 34이진택대동은행1997.06.20제26회 전국 종별 육상 경기 선수권 대회서울 올림픽 주경기장
2m 35우상혁국군체육부대2021.08.012020 도쿄 올림픽도쿄 도쿄 국립경기장
2m 36우상혁국군체육부대2022. 2. 5.세계육상실내투어후스토페체


여자 높이뛰기 대한민국 기록 추이 (1990년대 ~ 현재)

기록선수소속날짜대회명장소
1m 93김희선코오롱1990. 06. 10제44회 전국 육상 경기 선수권 대회서울 올림픽 주경기장[16]


3. 대한민국 높이뛰기 신기록 변천사

대한민국 높이뛰기 신기록은 남자부와 여자부로 나뉘어 변천해 왔다.

남자부에서는 1926년 김영낙이 1m 66을 기록한 것을 시작으로, 우상혁이 2022년에 2m 36을 기록할 때까지 꾸준히 신기록이 경신되었다. 이진택은 1992년부터 1997년까지 6차례나 신기록을 세우며 한국 높이뛰기 발전에 크게 기여했다.

여자부에서는 1963년 권중혜가 1m 47을 기록한 것을 시작으로, 김희선이 1990년에 1m 93을 기록할 때까지 신기록이 경신되었다. 김희선은 1986년부터 1990년까지 3차례 신기록을 세우며 여자 높이뛰기 발전을 이끌었다.

3. 1. 남자

기록선수소속날짜대회명장소
1m 66김영낙개성1926.06.13조만대항대회 예선
1m 75경수1935.10.08중등대항육상경기선수권대회
1m 85김원용체신국1937.06.13일반-학생대항대회
1m 87김원용경성1939.09.23조선신궁대회 예선경성 경성 운동장
1m 90이광호춘천농대1957.08.11학생선수권대회
1m 95[1]박상수대신고1971.07.25일본 관서 지역 대학 선발팀 초청 육상 대회서울 운동장
2m 00박상수대신고1971.10.08제52회 전국 체육 대회서울 운동장
2m 03박상수고려대1972.04.02관동 지방 육상 경기 대회
2m 06박상수고려대1972.04.22뮌헨 올림픽 파견 1차 선발전
2m 08박상수고려대1972.04.30뮌헨 올림픽 최종선발전서울 운동장
2m 13박상수고려대1974.05.24.테헤란 아시아 경기 대회 최종 선발전
2m 16김용기충북대1978.12.15방콕 아시아 경기 대회태국 방콕
2m 17신이식서울체고1984.08.18제1회 체육부장관기 쟁탈 전국 체고 육상 대회서울 운동장
2m 18신이식한국체대1985.04.2785 육상 시즌 오픈 기록회서울 운동장
2m 20신이식한국체대1985.06.15제39회 전국 육상 선수권 대회서울 올림픽 주경기장
2m 22조현욱진주고1987.07.24*제7회 아시아 육상 선수권 대회싱가포르 싱가포르 국립 경기장
2m 23조현욱진주고1988.06.12제42회 전국 육상 경기 선수권 대회서울 올림픽 주경기장
2m 25조현욱진주고1988.08.12제2회 한국 그랑프리 육상 대회서울 올림픽 주경기장
2m 26조현욱부산대1990.08.10제4회 한국육상그랑프리대회서울 올림픽 주경기장
2m 28[2]이진택부산대1992.05.02제46회 전국 육상 경기 선수권 대회서울 올림픽 주경기장
2m 29이진택국군체육부대1993.06.16제47회 전국육상경기선수권대회서울 올림픽 주경기장
2m 30이진택국군체육부대1993.10.15제74회 전국체육대회광주 무등경기장
2m 31이진택경북대1994.05.12제23회 전국종별육상경기선수권대회서울 올림픽 주경기장
2m 32이진택경북대1994.06.18제48회 전국육상경기선수권대회서울 올림픽 주경기장
2m 33이진택경북대1995.06.17제49회 전국육상경기선수권대회서울 올림픽 주경기장
2m 34이진택대동은행1997.06.20제26회 전국 종별 육상 경기 선수권 대회서울 올림픽 주경기장
2m 35우상혁국군체육부대2021.08.01제32회 도쿄 올림픽일본 도쿄 국립경기장
2m 36우상혁국군체육부대2022. 2. 5.세계육상실내투어체코 Hustopeče영어


3. 2. 여자

기록차이선수소속날짜대회명개최지경기장주석 및 기타
1m 47+ 1cm권중혜이리여고1963. 06. 15제17회 전국남녀육상경기선수권대회서울서울운동장종전기록 1m 46[3]
1m 57- 04cm강선옥건국대1968. 05. 28제22회 전국 남녀 육상 선수권 대회서울효창 운동장종전 1.53[4]
1m 58+ 1cm이옥순성의여상1973. 10. 14제54회 전국 체육 대회부산[5]
1m 60+ 2cm이옥순1974. 10. 09제55회 전국 체육 대회종전 1.58 (이옥순, 73년)[6]
1m 66이옥순경명여고1975. 10. 08제56회 전국 체육 대회종전 1m 65[7]
1m 67+ 1cm신은선수도여고1976. 6. 22제5회 전국종별육상선수권대회서울서울 운동장[8]
1m 68+ 1cm유경희일신여고1976. 10. 13제57회 전국체육대회부산[9]
1m 68신은선수도여고1976. 10. 13제57회 전국체육대회부산[10]
1m 69+ 1cm유경희충북은행1977. 5. 13제6회 전국종별육상선수권대회서울서울 운동장
1m 70+ 1cm신은선수도여고1977. 5. 15제6회 전국종별육상선수권대회서울서울 운동장종전 유경희 1m 71[11]
1m 74+ 4cm신은선수도여고1977. 6. 12제1회 대학대항육상경기대회서울서울 운동장[12]
1m 75+ 1cm신은선수도여고1977. 9. 225회 KBS배육상경기대회서울서울 운동장[13]
1m 76+ 1cm이길례1980. 10. 10제61회 전국 체육 대회전주[14]
1m 86김희선코오롱 스포츠1986. 07. 26제7회 비호기 전국 육상 대회서울올림픽 주경기장종전 1.82(5월 김희선)[15]
1m 92김희선코오롱1988. 09. 29제24회 하계 올림픽서울올림픽 주경기장
1m 93+ 01cm김희선코오롱1990. 06. 10제44회 전국 육상 경기 선수권 대회서울올림픽 주경기장[16]


4. 주요 기술 및 훈련 방법

주어진 원본 소스에 높이뛰기의 주요 기술 및 훈련 방법에 대한 정보가 없으므로, 섹션 내용을 작성할 수 없습니다. (이전 응답과 동일)

5. 주요 국제 대회 및 한국 선수들의 성적

1972년 뮌헨 올림픽 남자 높이뛰기에 대한민국 선수로는 처음으로 박상수가 출전했고, 1988년 서울 올림픽에서는 김희선이 여자 높이뛰기 예선에서 당시 대한민국 여자 최고 기록을 세웠다.[15] 2020년 도쿄 올림픽에서는 우상혁이 결선에서 2m 35를 기록하며 대한민국 올림픽 높이뛰기 최고 성적인 4위에 올랐다.[2]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는 세계적인 육상 대회이지만, 주어진 자료에는 이 대회와 관련된 한국 선수 기록은 포함되어 있지 않다.

아시안 게임에서는 1978년 김용기가 2m 16을 기록했다.

5. 1. 올림픽

1972년 뮌헨 올림픽 남자 높이뛰기에 대한민국 선수로는 처음으로 박상수가 출전했지만, 예선에서 2m 00을 기록하여 결선 진출에 실패했다.[1] 1988년 서울 올림픽에서는 김희선이 여자 높이뛰기 예선에서 1m 92를 기록하며 당시 대한민국 여자 최고 기록을 세웠으나, 결선 진출에는 실패했다.[15]

2020년 도쿄 올림픽에서는 우상혁이 결선에서 2m 35를 기록하며 4위에 올랐다. 이는 대한민국 올림픽 높이뛰기 최고 성적이다.[2]

5. 2.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는 세계적인 육상 대회로, 높이뛰기 종목에서도 많은 선수들이 참가하여 경쟁한다. 대한민국 선수들도 이 대회에 참가하여 자신의 기량을 선보였으나, 주어진 원본 자료에는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와 관련된 한국 선수 기록은 포함되어 있지 않다.

5. 3. 아시안 게임

다음은 아시안 게임 높이뛰기 대한민국 기록 추이를 나타낸 표이다.

기록선수소속날짜대회명장소
2m 16김용기충북대1978.12.15방콕 아시안 게임방콕


5. 4. 기타 국제 대회

기록선수소속날짜대회명장소
2m 22조현욱진주고1987. 07. 24제7회 아시아 육상 선수권 대회싱가포르 국립 경기장
1m 92김희선코오롱1988. 09. 29제24회 하계 올림픽서울 올림픽 주경기장
2m 35우상혁국군체육부대2021. 08. 01제32회 도쿄 올림픽도쿄 국립경기장
2m 36우상혁국군체육부대2022. 02. 05세계육상실내투어Hustopeče|후스토페체영어


참조

[1] 뉴스 남자 주고도 박상수, 18년만에 한국신 http://newslibrary.n[...] 경향신문 1971-07-26
[2] 뉴스 육상 6종목서 한국신 8개 수확 http://newslibrary.n[...] 한겨레신문 1992-05-03
[3] 뉴스 ‘여자종목선 한국신 6개’ http://dna.naver.com[...] 경향신문 1963-06-17
[4] 뉴스 제22회 전국 남녀 육상 선수권 대회 http://newslibrary.n[...] 경향신문 1968-04-26
[5] 뉴스 ‘육상서 한국신 4개’ http://newslibrary.n[...] 동아일보 1973-10-15
[6] 뉴스 수영, 육상서 한국신 http://newslibrary.n[...] 동아일보 1974-10-10
[7] 뉴스 韓國新 (공인) 14 http://newslibrary.n[...] 동아일보 1975-12-03
[8] 뉴스 ‘여고 높이뛰기, 5종경기서도 한국신’ http://dna.naver.com[...] 동아일보 1976-06-23
[9] 뉴스 ‘여고 높이뛰기서 한국신 2’ http://dna.naver.com[...] 동아일보 1976-10-13
[10] 뉴스 ‘여고 높이뛰기서 한국신 2’ http://dna.naver.com[...] 동아일보 1976-10-13
[11] 뉴스 ‘남자 1만m 등 또 한국신’ http://dna.naver.com[...] 동아일보 1977-05-16
[12] 뉴스 한국신 4 http://dna.naver.com[...] 동아일보 1977-06-13
[13] 뉴스 신은선 한국신 http://dna.naver.com[...] 동아일보 1977-09-23
[14] 뉴스 수영, 육상 궁도서 한국신 http://newslibrary.n[...] 동아일보 1980-10-10
[15] 뉴스 육상서 한국신 8개 http://newslibrary.n[...] 경향신문 1986-07-28
[16] 뉴스 전국육상대회 韓國新 홍수 http://newslibrary.n[...] 경향신문 1990-06-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